| name | direction-setting |
| description | 킹핀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해결 방향성을 Needs Statement로 정의합니다. 핵심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세요. |
방향성 정의 (Direction Setting)
목적
검증된 문제들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킹핀 문제(Kingpin Problem)를 찾고,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방향성을 Needs Statement로 정의합니다.
사용 시점
- 문제 가설이 검증된 후
- 여러 문제 중 가장 중요한 문제를 선정해야 할 때
- 솔루션 탐색 전에 명확한 방향성이 필요할 때
- 사용자가 "킹핀 문제", "방향성 정의", "Needs Statement"를 언급할 때
필수 입력
- 문제가설 및 검증 결과 (problem-hypothesis 결과):
define/문제가설.mddefine/문제검증인터뷰결과.mddefine/문제검증인터뷰결과취합.mddefine/비즈니스가치.md
- 대상 고객 유형:
define/고객분석.md(customer-analysis 결과)
킹핀 문제 발견 프로세스
1. 킹핀 문제 개념
킹핀 문제(Kingpin Problem): 볼링에서 스트라이크를 치기 위해 반드시 쓰러뜨려야 하는 5번 핀처럼, 해결하면 다른 여러 문제들이 연쇄적으로 해결되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입니다.
2. 킹핀 문제 선정 기준 (5가지)
영향력 (Impact)
- 질문: 이 문제를 해결하면 다른 문제들도 함께 해결되는가?
- 평가: 연쇄 해결되는 문제의 수와 중요도
- 점수: 5점 만점
빈도 (Frequency)
- 질문: 고객이 얼마나 자주 겪는 문제인가?
- 평가: 발생 빈도 (매일/매주/매월/가끔)
- 점수: 5점 만점
심각도 (Severity)
- 질문: 고객에게 미치는 고통의 정도는 얼마나 큰가?
- 평가: 문제로 인한 비용, 시간 손실, 감정적 고통 정도
- 점수: 5점 만점
근본성 (Root Cause)
- 질문: 다른 문제들의 원인이 되는 근본 문제인가?
- 평가: 5 WHY 분석 결과, 문제 간 인과관계
- 점수: 5점 만점
해결가능성 (Feasibility)
- 질문: 현실적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인가?
- 평가: 기술적 실현 가능성, 자원, 시간, 비용
- 점수: 5점 만점
3. 킹핀 문제 분석 방법
Step 1: 검증된 문제 리스트업
문제검증 결과에서 검증된 모든 문제를 나열합니다.
| 문제 ID | 문제 설명 | 중요도 평균 | 불편도 평균 |
|---|---|---|---|
| P1 | [문제 1] | X.X | X.X |
| P2 | [문제 2] | X.X | X.X |
| P3 | [문제 3] | X.X | X.X |
Step 2: 문제 간 인과관계 맵핑
P1 (근본원인)
↓ 영향
P2 (중간문제)
↓ 영향
P3 (표면문제)
Step 3: 5가지 기준으로 각 문제 평가
| 문제 ID | 영향력 | 빈도 | 심각도 | 근본성 | 해결가능성 | 총점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P1 | 5 | 4 | 5 | 5 | 3 | 22 |
| P2 | 3 | 5 | 4 | 3 | 4 | 19 |
| P3 | 2 | 3 | 3 | 2 | 5 | 15 |
Step 4: 종합 분석 및 킹핀 문제 선정
- 종합 점수 분석
- 인과관계도 분석
- 파급 효과 분석
- 최종 킹핀 문제 결정
4. 킹핀 문제 정의 결과
선정된 킹핀 문제
[한 문장으로 명확하게 정의]
예시: "구독 서비스가 너무 많아서 관리가 어렵다"
선정 근거
영향력 분석
이 문제를 해결하면 다음 문제들이 연쇄적으로 해결됩니다:
- [해결되는 문제 1]
- [해결되는 문제 2]
- [해결되는 문제 3]
빈도/심각도 데이터
- 빈도: 응답자의 X%가 주 X회 이상 경험
- 심각도: 평균 불편도 X.X/5.0
- 중요도: 평균 중요도 X.X/5.0
근본 원인 분석
5 WHY 분석 결과:
- WHY 1: [첫 번째 이유]
- WHY 2: [두 번째 이유]
- WHY 3: [세 번째 이유]
- WHY 4: [네 번째 이유]
- WHY 5: [근본 원인]
파급 효과
이 문제를 해결하면:
- [개선되는 점 1]
- [개선되는 점 2]
- [개선되는 점 3]
Needs Statement 작성
Needs Statement 구조
'<고객유형>는 <목적>을 위하여 <원하는 것>이 필요하다.'
작성 원칙
1. 사용자 경험 중심
- 기술적 솔루션이 아닌 사용자 경험의 향상 표현
-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방향으로 경험이 향상되면 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지 표현
2. 목적 명확화
- 킹핀 문제의 근본원인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
- 문제가설에 정의된 근본문제 활용
3. 원하는 것 정의
- 기능이 아닌 경험을 표현
- 근본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큰 방향성 또는 컨셉 정의
- 구체적인 솔루션이 아닌 달성하고자 하는 상태 표현
4. 하나의 문장
- 여러 개가 아닌 단 1개의 문장으로 표현
- 모든 팀원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명확성
Needs Statement 예시
예시 1: 음식 배달 서비스
'집에서 조리된 음식을 먹고 싶은 음식소비자는
빠르고 간편하게 다양한 음식을 선택하기 위하여
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음식 추천과 주문 경험이 필요하다.'
예시 2: 구독 관리 서비스
'가성비 좋은 생활 구독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구독서비스 이용자는
복잡한 구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
모든 구독을 한눈에 파악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통합 관리 경험이 필요하다.'
예시 3: 여행 계획 서비스
'맞춤형 여행을 계획하고 싶은 여행자는
시간을 절약하고 만족도 높은 여행을 위하여
개인의 취향과 상황에 맞는 여행 정보를 쉽게 발견하고 계획할 수 있는 경험이 필요하다.'
Needs Statement 검증 체크리스트
작성한 Needs Statement를 다음 체크리스트로 검증하세요:
- 고객유형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가?
- 목적이 킹핀 문제의 근본원인 해결과 연결되어 있는가?
- 원하는 것이 기능이 아닌 경험으로 표현되었는가?
- 하나의 문장으로 명확하게 표현되었는가?
- 모든 팀원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가?
- 솔루션이 아닌 방향성을 제시하는가?
- 측정 가능한 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가?
도구 활용
Sequential MCP 사용
복잡한 문제 분석과 체계적인 킹핀 문제 발견을 위해 Sequential MCP를 활용하세요.
분석 깊이
- 킹핀 문제 발견: 체계적인 다층 분석 필요
- Needs Statement: 팀 합의와 명확성 중시
출력 형식
파일 1: 킹핀문제.md
# 킹핀 문제 분석
## 1. 검증된 문제 리스트
[문제 리스트 표]
## 2. 문제 간 인과관계
[인과관계 다이어그램]
## 3. 5가지 기준 평가
[평가 점수표]
## 4. 킹핀 문제
[선정된 킹핀 문제]
## 5. 선정 근거
### 영향력 분석
[연쇄 해결되는 문제들]
### 빈도/심각도 데이터
[검증 데이터]
### 근본 원인 분석
[5 WHY 결과]
### 파급 효과
[기대 효과]
## 6. 평가 점수표
[모든 문제의 5가지 기준 점수]
파일 2: 문제해결방향성.md
# 문제 해결 방향성
## Needs Statement
'<고객유형>는 <목적>을 위하여 <원하는 것>이 필요하다.'
## 상세 설명
### 고객유형
[고객 정의와 특성]
### 목적
[킹핀 문제와 근본원인 설명]
### 원하는 것
[달성하고자 하는 경험과 상태]
## 기대 효과
### 고객 측면
- [기대 효과 1]
- [기대 효과 2]
- [기대 효과 3]
### 비즈니스 측면
- [비즈니스 가치 1]
- [비즈니스 가치 2]
- [비즈니스 가치 3]
## 성공 지표
### 정량적 지표
- [측정 가능한 지표 1]
- [측정 가능한 지표 2]
### 정성적 지표
- [경험 개선 지표 1]
- [경험 개선 지표 2]
결과 파일
- 킹핀문제.md:
think/킹핀문제.md - 문제해결방향성.md:
think/문제해결방향성.md
중요 가이드라인
- Sequential MCP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세요
- 킹핀 문제는 팀 전체의 합의가 필요합니다
- Needs Statement는 솔루션이 아닌 방향성을 제시해야 합니다
- 모든 분석은 검증 데이터에 기반해야 합니다
- 감정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데이터로 결정하세요
- 킹핀 문제 해결이 다른 문제들의 연쇄 해결로 이어지는지 검증하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