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name | solution-selection |
| description | 생성된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합니다. MVP 개발을 위한 기능 우선순위를 지정할 때 사용하세요. |
솔루션 선정
목적
아이디어를 투표 방식으로 평가하고 우선순위 매트릭스를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합니다.
사용 시점
- 아이디어 발상이 완료된 후
- 비즈니스 모델 설계 전
- 여러 솔루션 중 최적안을 선택해야 할 때
- 사용자가 "솔루션 선정", "아이디어 평가", "우선순위"를 언급할 때
필수 입력
- 아이디어 발상 결과 (ideation 결과):
think/솔루션후보.md
- 예시 이미지:
reference/sample-solution-proritization.png
1단계: 우선순위 평가 (투표)
각 팀원들이 비즈니스 가치와 실현 가능성을 기준으로 아이디어에 투표합니다.
요청사항
- 각자 투표 수행:
- 비즈니스 가치 3표 (Business Value)
- 실현 가능성 3표 (Feasibility)
- 표시 방법:
- 비즈니스 가치가 높은 아이디어: B (Business)
- 실현 가능성이 높은 아이디어: F (Feasibility)
- 투표 집계:
- 각 아이디어별로 받은 B와 F 투표수를 합산하여 표시
참고자료
think/솔루션후보.md
결과 형식: 마크다운 표
# 솔루션 평가
| 아이디어 제목 | 비즈니스 가치 (B) | 실현 가능성 (F) |
|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|
| {아이디어 1} | 5 | 3 |
| {아이디어 2} | 3 | 6 |
| {아이디어 3} | 4 | 4 |
결과 파일
think/솔루션평가.md
2단계: 솔루션 선정 (우선순위 매트릭스)
우선순위 평가 결과를 2x2 매트릭스로 시각화하고 핵심 솔루션을 선정합니다.
요청사항
1. 우선순위 평가 매트릭스 작성
축 설정:
- X축: 실현가능성 (낮음 → 높음)
- Y축: 비즈니스 영향도 (낮음 → 높음)
4개 영역 구분:
| 영역 | 설명 | 우선순위 |
|---|---|---|
| No Brainers | 실현가능성 높음 + 비즈니스 영향도 높음 | 1순위 (즉시 실행) |
| Bit Bets | 실현가능성 낮음 + 비즈니스 영향도 높음 | 2순위 (전략적 투자) |
| Utilities | 실현가능성 높음 + 비즈니스 영향도 낮음 | 3순위 (리소스 여유 시) |
| Unwise | 실현가능성 낮음 + 비즈니스 영향도 낮음 | 4순위 (보류/폐기) |
매트릭스 작성 지침:
- 그래프에는 아이디어 ID만 표시 (예: A1, A2, B1, B2 등)
- 범례로 아이디어 ID와 아이디어명 매핑 표시
- 가독성을 위해 점과 레이블을 명확히 구분
2. SVG 파일로 매트릭스 생성
- 파일명:
think/솔루션우선순위평가.svg - 참고 예시:
reference/sample-solution-proritization.png
3. 핵심 솔루션 선정
선정 기준:
- No Brainers 영역의 아이디어 우선 선정
- No Brainers가 없으면 Bit Bets와 Utilities 아이디어도 포함
선정 결과 테이블:
# 핵심 솔루션
| 아이디어 제목 | 설명 | 비즈니스 가치 | 실현 가능성 |
|--------------|------|--------------|------------|
| {No Brainers 아이디어 1} | {상세 설명} | 5 | 4 |
| {No Brainers 아이디어 2} | {상세 설명} | 4 | 5 |
권장사항:
- 핵심 솔루션은 3개 이하로 선정할 것을 권장
- 팀원들과 검토 및 수정 후 최종 확정
참고자료
think/솔루션평가.md
결과 파일
- 우선순위 매트릭스 SVG:
think/솔루션우선순위평가.svg - 핵심 솔루션 문서:
think/핵심솔루션.md
우선순위 매트릭스 SVG 작성 예시
<svg width="600" height="500" xmlns="http://www.w3.org/2000/svg">
<!-- 배경 -->
<rect width="600" height="500" fill="#f9f9f9"/>
<!-- 축 -->
<line x1="100" y1="400" x2="550" y2="400" stroke="#333" stroke-width="2"/>
<line x1="100" y1="400" x2="100" y2="50" stroke="#333" stroke-width="2"/>
<!-- 축 레이블 -->
<text x="320" y="44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4">실현가능성</text>
<text x="50" y="23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4" transform="rotate(-90, 50, 230)">비즈니스 영향도</text>
<!-- 4개 영역 배경색 -->
<rect x="100" y="50" width="225" height="175" fill="#ffcccc" opacity="0.3"/> <!-- Bit Bets -->
<rect x="325" y="50" width="225" height="175" fill="#ccffcc" opacity="0.3"/> <!-- No Brainers -->
<rect x="100" y="225" width="225" height="175" fill="#ffffcc" opacity="0.3"/> <!-- Unwise -->
<rect x="325" y="225" width="225" height="175" fill="#cce5ff" opacity="0.3"/> <!-- Utilities -->
<!-- 영역 레이블 -->
<text x="210" y="13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2" font-weight="bold">Bit Bets</text>
<text x="435" y="13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2" font-weight="bold">No Brainers</text>
<text x="210" y="31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2" font-weight="bold">Unwise</text>
<text x="435" y="310" text-anchor="middle" font-size="12" font-weight="bold">Utilities</text>
<!-- 아이디어 점 (예시) -->
<circle cx="450" cy="100" r="8" fill="#0066cc"/>
<text x="465" y="105" font-size="12">A1</text>
<!-- 범례 -->
<text x="100" y="470" font-size="11">A1: 아이디어명 1 | A2: 아이디어명 2</text>
</svg>
평가 가이드라인
- 투표는 팀원 각자 독립적으로 수행
- 비즈니스 가치와 실현 가능성의 균형 고려
- No Brainers 영역의 아이디어를 우선 선정
- 핵심 솔루션은 3개 이하로 선정 권장
- 팀원들과 검토 및 합의 후 최종 확정
도구 활용
Sequential MCP 사용
복잡한 평가와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 Sequential MCP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최적 솔루션을 도출하세요.
결과 파일
- 1단계 결과:
think/솔루션평가.md(투표 결과 집계표) - 2단계 결과:
think/솔루션우선순위평가.svg(우선순위 매트릭스)think/핵심솔루션.md(선정된 핵심 솔루션)
주의사항
1단계 (우선순위 평가)
- 각 팀원이 독립적으로 투표 수행
- 비즈니스 가치 3표, 실현 가능성 3표씩 배분
- B와 F 투표수를 명확히 구분하여 집계
2단계 (솔루션 선정)
- 우선순위 매트릭스는 SVG 파일로 작성
- 아이디어 ID 사용으로 가독성 확보
- No Brainers 영역 아이디어를 최우선 선정
- No Brainers가 없으면 Bit Bets와 Utilities 포함
- 핵심 솔루션은 3개 이하로 선정 (권장)
최종 검토
- 팀원들과 결과 파일 검토 및 수정
think/핵심솔루션.md를 백업 후 선택된 핵심 솔루션만 남김- 합의를 통한 최종 확정
다음 단계
솔루션 선정 완료 후:
- 결과 파일 팀원들과 검토 및 수정
- 비즈니스 모델 기획 (Lean Canvas)
- 서비스 기획서 발표자료 작성
- Event Storming 및 유저스토리 작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