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ude Code Plugins

Community-maintained marketplace

Feedback
5
0

사용자 관점에서 제품 요구사항을 정의할 때 INVEST 원칙을 따르는 포괄적인 유저스토리를 작성합니다.

Install Skill

1Download skill
2Enable skills in Claude

Open claude.ai/settings/capabilities and find the "Skills" section

3Upload to Claude

Click "Upload skill" and select the downloaded ZIP file

Note: Please verify skill by going through its instructions before using it.

SKILL.md

name user-stories
description 사용자 관점에서 제품 요구사항을 정의할 때 INVEST 원칙을 따르는 포괄적인 유저스토리를 작성합니다.

유저스토리 작성

목적

선정된 솔루션과 Event Storming 결과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유저스토리를 작성합니다.

사용 시점

  • Event Storming이 완료된 후
  • UI/UX 디자인 전
  • 개발 우선순위를 정의해야 할 때
  • 사용자가 "유저스토리", "User Story", "백로그"를 언급할 때

필수 입력

  • 선정된 솔루션: think/핵심솔루션.md (solution-selection 결과)
  • 타겟 고객 정의: define/고객분석.md (customer-analysis 결과)
  • Event Storming 결과 (event-storming 결과):
    • think/es/userflow.puml
    • think/es/{순번}-{유저플로우명}.puml
  • 유저스토리 샘플 참고: reference/sample_유저스토리.md

유저스토리 프레임워크

1.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구조

유저스토리는 마이크로서비스 단위로 구성합니다:

서비스 조직 예시

  • User Service: 사용자 관리 (회원가입, 로그인, 프로필)
  • [Core] Service: 핵심 비즈니스 기능
  • [AI] Service: AI 기반 기능
  • [Integration] Service: 외부 연동 기능

2. UFR (User Functional Requirement) 포맷

각 유저스토리는 다음 형식을 따릅니다:

UFR-{서비스}-{번호}: [{기능}] 사용자로서 | 나는 {목적}을 위해 | {액션}을 하고 싶다.

예시:

  • UFR-USER-010: [회원가입] 사용자로서 | 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| 간편하게 회원가입하고 싶다.
  • UFR-CORE-020: [주문하기] 사용자로서 | 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| 쉽게 주문하고 싶다.

3. 시나리오 기반 상세 요구사항

각 UFR은 다음 구조로 상세화합니다:

- 시나리오: {시나리오명}

{상황 설명} | {조건} | {결과}

[입력 요구사항]

  • 기본 정보
    • {필드명}: {검증 조건}
    • {필드명}: {검증 조건}
  • 추가 정보
    • {필드명}: {검증 조건}

[검증 요구사항]

  • {검증 항목}: {검증 내용}
  • {검증 항목}: {검증 내용}

[처리 결과]

  • 성공 시
    • {결과 항목}
    • {결과 항목}
  • 실패 시
    • {실패 조건}: {처리 방법}

- M/{포인트}, S/{포인트}, C/{포인트}

우선순위 표기법:

  • M (Must Have): 필수 구현 기능
  • S (Should Have): 중요 구현 기능
  • C (Could Have): 선택 구현 기능
  • 숫자: Story Points (피보나치: 1, 2, 3, 5, 8, 13, 21)

예시: M/13 → Must Have, 13 포인트

4. 기술 태스크 (복잡한 스토리)

복잡한 구현이 필요한 스토리는 기술 태스크를 분리합니다:

[기술 태스크]

  • Frontend
    • {구현 내용}
    • {구현 내용}
  • Backend
    • API Endpoint: {엔드포인트}
    • Service Layer: {서비스 로직}
    • Repository: {데이터 접근}
  • Infrastructure
    • {인프라 요구사항}

5. 사용자 역할

각 역할 정의:

  • 설명
  • 권한
  • 목표

6. Feature Story Map

계층 구조 생성:

User Service
├── UFR-USER-010: 회원가입
├── UFR-USER-020: 로그인
└── UFR-USER-030: 프로필 관리

Core Service
├── UFR-CORE-010: [기능 1]
├── UFR-CORE-020: [기능 2]
└── UFR-CORE-030: [기능 3]

7. 우선순위 매트릭스

Must Have (P0)

  1. [UFR-XXX-###] - [스토리 제목]

Should Have (P1)

  1. [UFR-XXX-###] - [스토리 제목]

Could Have (P2)

  1. [UFR-XXX-###] - [스토리 제목]

Won't Have (이번 버전에서는)

  1. [UFR-XXX-###] - [스토리 제목]

8. 스프린트 계획 (MVP 기준)

Sprint 1 (1-2주차)

  • UFR-USER-010: [제목] (M/5)
  • UFR-CORE-020: [제목] (M/3)
  • Sprint 목표: [스프린트 목표]
  • 총 SP: 8

[이후 스프린트 계속]

9. 비기능적 요구사항

성능

  • 페이지 로드: 3G에서 <3초, WiFi에서 <1초
  • API 응답: <200ms
  • 동시 사용자: 1000명

보안

  • HTTPS 적용
  • 인증/권한 관리
  • 데이터 암호화

사용성

  • 모바일 반응형
  • WCAG 2.1 접근성 준수
  • 다국어 지원

확장성

  • 수평 확장 가능
  • 클라우드 네이티브
  •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
10. Definition of Done

체크리스트:

  • 코드 리뷰 완료
  • 단위 테스트 작성 및 통과
  • 통합 테스트 통과
  • 문서화 완료
  • QA 테스트 통과
  • 스테이징 배포 및 검증
  • 프로덕션 배포

11. 리스크 및 의존성

UFR ID 리스크/이슈 영향도 완화 전략
UFR-XXX-### [리스크] 높음 [전략]

INVEST 원칙

유저스토리는 반드시 INVEST를 따라야 함:

  • Independent (독립적): 독립적으로 개발 가능
  • Negotiable (협상 가능): 세부사항 논의 가능
  • Valuable (가치 있음): 사용자에게 가치 제공
  • Estimable (추정 가능): 추정 가능
  • Small (작음): 한 스프린트 내 완료 가능
  • Testable (테스트 가능): 명확한 인수 기준

작성 형식

# 유저스토리

## User Service

### UFR-USER-010: [회원가입] 사용자로서 | 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| 간편하게 회원가입하고 싶다.

- 시나리오: 신규 회원가입
  미로그인 상태에서 회원가입 화면에 접근한 상황에서 | 필수 정보를 모두 입력하고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면 | 가입이 완료되고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한다.

  [입력 요구사항]
  - 기본 정보
    - 이름: 2자 이상 (한글/영문)
    - 이메일: 유효한 이메일 형식
    - 비밀번호: 8자 이상, 영문+숫자+특수문자
  - 추가 정보
    - 닉네임: 2-10자 (선택)
    - 프로필 이미지: JPG/PNG, 최대 5MB (선택)

  [검증 요구사항]
  - 이메일 중복 확인: 기존 회원과 중복 불가
  - 비밀번호 강도: 보안 정책 준수
  - 필수 입력: 이름, 이메일, 비밀번호

  [처리 결과]
  - 성공 시
    - 회원 정보 DB 저장
    - 환영 이메일 발송
    - 로그인 화면으로 리디렉션
  - 실패 시
    - 이메일 중복: "이미 사용 중인 이메일입니다" 메시지
    - 유효성 오류: 해당 필드에 오류 메시지 표시

- M/13

---

(다음 스토리 반복)

## 사용자 역할

### 역할 1: {역할명}
- **설명**: {역할 설명}
- **권한**: {권한 목록}
- **목표**: {역할의 주요 목표}

### 역할 2: {역할명}
- **설명**: {역할 설명}
- **권한**: {권한 목록}
- **목표**: {역할의 주요 목표}

## Feature Story Map

\```
User Service
├── UFR-USER-010: 회원가입
├── UFR-USER-020: 로그인
└── UFR-USER-030: 프로필 관리

Core Service
├── UFR-CORE-010: {스토리 제목}
├── UFR-CORE-020: {스토리 제목}
└── UFR-CORE-030: {스토리 제목}
\```

## 우선순위 매트릭스

### Must Have (P0) - 필수
1. UFR-USER-010: 회원가입 - 서비스 이용을 위한 필수 기능
2. UFR-CORE-020: {제목} - {설명}

### Should Have (P1) - 중요
1. UFR-USER-030: {제목} - {설명}
2. UFR-CORE-030: {제목} - {설명}

### Could Have (P2) - 선택
1. UFR-XXX-###: {제목} - {설명}

### Won't Have - 향후 고려
1. UFR-XXX-###: {제목} - {설명}

## 스프린트 계획 (MVP 기준)

### Sprint 1 (1-2주차)
**Sprint 목표**: {스프린트의 핵심 목표}

- [ ] UFR-USER-010: 회원가입 (M/5)
- [ ] UFR-USER-020: 로그인 (M/3)
- [ ] UFR-CORE-010: {제목} (S/2)

**총 Story Points**: 10
**예상 완료일**: {날짜}

### Sprint 2 (3-4주차)
**Sprint 목표**: {스프린트의 핵심 목표}

- [ ] UFR-CORE-020: {제목} (M/8)
- [ ] UFR-USER-030: {제목} (S/5)

**총 Story Points**: 13
**예상 완료일**: {날짜}

(이후 스프린트 계속)

## 비기능적 요구사항

### 성능 요구사항
- **페이지 로드 시간**: 3G 네트워크에서 3초 이내, WiFi에서 1초 이내
- **API 응답 시간**: 200ms 이내
- **동시 사용자 처리**: 1000명 이상
- **트랜잭션 처리량**: 초당 100건 이상

### 보안 요구사항
- **HTTPS 적용**: 모든 통신 암호화
- **인증/권한 관리**: JWT 또는 OAuth 기반
- **데이터 암호화**: 민감 데이터 암호화 저장
- **보안 감사**: 정기적인 보안 점검

### 사용성 요구사항
- **모바일 반응형**: 모든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
- **접근성**: WCAG 2.1 AA 이상 준수
- **다국어 지원**: 최소 2개 언어 지원
- **브라우저 호환성**: Chrome, Safari, Firefox, Edge 최신 2개 버전

### 확장성 요구사항
- **수평 확장**: 트래픽 증가 시 서버 추가 가능
- **클라우드 네이티브**: 클라우드 환경 최적화
- **마이크로서비스**: 서비스 독립 배포 가능
- **캐싱 전략**: Redis 기반 캐싱

## Definition of Done

각 스토리 완료 기준:

### 개발 완료
- [ ] 코드 작성 완료
- [ ] 코드 리뷰 완료 (최소 1명)
- [ ] 코딩 스타일 가이드 준수
- [ ] 기술 부채 최소화

### 테스트 완료
- [ ] 단위 테스트 작성 및 통과 (커버리지 80% 이상)
- [ ] 통합 테스트 통과
- [ ] E2E 테스트 통과 (주요 플로우)
- [ ] 성능 테스트 통과

### 문서화 완료
- [ ] 코드 주석 작성
- [ ] API 문서 업데이트
- [ ] 사용자 가이드 업데이트
- [ ] 변경 사항 로그 작성

### 배포 완료
- [ ] 스테이징 환경 배포
- [ ] QA 검증 완료
- [ ] 프로덕션 배포 승인
- [ ] 프로덕션 배포 완료

## 리스크 및 의존성

### 리스크 관리

| UFR ID | 리스크/이슈 | 영향도 | 발생 가능성 | 완화 전략 | 담당자 |
|----------|-----------|--------|-----------|----------|--------|
| UFR-USER-010 | {리스크 설명} | 높음 | 중간 | {완화 전략} | {담당자} |
| UFR-CORE-020 | {리스크 설명} | 중간 | 높음 | {완화 전략} | {담당자} |

### 의존성 관리

| UFR ID | 의존하는 스토리 | 의존성 타입 | 해결 방법 |
|----------|--------------|-----------|----------|
| UFR-CORE-020 | UFR-USER-010 | 기술적 의존성 | {해결 방법} |
| UFR-XXX-### | UFR-CORE-020 | 비즈니스 의존성 | {해결 방법} |

중요 가이드라인

  • UFR 포맷 사용: UFR-{서비스}-{번호} 형식으로 모든 스토리 작성
  • 시나리오 기반 작성: [입력 요구사항], [검증 요구사항], [처리 결과] 구조 필수
  • 우선순위 표기: M/S/C + Story Points 형식 사용
  • 마이크로서비스 조직: 서비스별로 스토리 그룹화
  • Event Storming 활용: Event Storming 결과를 UFR로 변환
  • 기술 태스크 분리: 복잡한 스토리는 Frontend/Backend/Infrastructure 태스크 명시
  • 최소 20개 이상: 충분한 스토리로 MVP 범위 정의
  • 독립성 보장: 각 UFR은 독립적으로 개발 및 배포 가능
  • 상세한 요구사항: 입력/검증/처리 결과를 명확히 문서화
  • 샘플 참고: reference/sample_유저스토리.md의 형식 준수

Event Storming 매핑 가이드

Bounded Context → 마이크로서비스

  • Event Storming의 각 Bounded Context를 마이크로서비스로 변환
  • 예시: "사용자 관리" → User Service, "주문 처리" → Order Service

User Flow → UFR 그룹

  • Event Storming의 User Flow를 UFR 번호 그룹으로 변환
  • 예시: "회원가입 플로우" → UFR-USER-010~020

Sequence Diagram → UFR 시나리오

  • 각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UFR의 시나리오로 변환
  • 다이어그램의 각 단계가 [입력/검증/처리 결과]로 구조화됨

Policy/Rule → 검증 요구사항

  • Event Storming의 Policy와 Rule을 [검증 요구사항]으로 변환
  • 비즈니스 규칙을 명확한 검증 조건으로 작성

Domain Event → UFR

  • 중요한 Domain Event를 UFR로 변환
  • 예시: "주문 완료됨" → UFR-ORDER-030: 주문 완료 알림 수신

도구 활용

Sequential MCP 사용

복잡한 유저스토리 분석과 우선순위 결정이 필요할 때 Sequential MCP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백로그를 구성하세요.

결과 파일

  • 유저스토리.md: design/userstory.md

주의사항

  • UFR 포맷 준수: UFR-{서비스}-{번호} 형식 엄격히 사용
  • 시나리오 구조 필수: [입력 요구사항], [검증 요구사항], [처리 결과] 모두 작성
  • 우선순위 표기: M/S/C + Story Points (피보나치) 형식 사용
  • 최소 20개 이상: 충분한 UFR로 MVP 범위 정의
  • Event Storming 연계: ES 결과를 UFR로 체계적 변환
  • 마이크로서비스 구조: 서비스별로 명확히 그룹화
  • 기술 태스크: 복잡한 스토리는 Frontend/Backend/Infrastructure 분리
  • 샘플 참조: reference/sample_유저스토리.md 형식 참고
  • INVEST 원칙: 독립성, 협상가능성, 가치, 추정가능성, 작은 크기, 테스트가능성
  • 비기능적 요구사항: 성능, 보안, 사용성, 확장성 필수 포함
  • Definition of Done: 모든 완료 기준 충족 필요

다음 단계

유저스토리 작성 완료 후:

  1. UI/UX 디자인 (와이어프레임, 디자인 시스템)
  2. 프로토타입 개발 (기술 스택, 구현)
  3. 스프린트 실행 및 개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