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ude Code Plugins

Community-maintained marketplace

Feedback

living-docs

@ssiumha/dots
7
0

프로젝트 지식베이스와 TODO를 관리합니다. 요구사항, 의사결정, 정책 문서를 업데이트하거나 작업 현황을 파악할 때 사용하세요.

Install Skill

1Download skill
2Enable skills in Claude

Open claude.ai/settings/capabilities and find the "Skills" section

3Upload to Claude

Click "Upload skill" and select the downloaded ZIP file

Note: Please verify skill by going through its instructions before using it.

SKILL.md

name living-docs
description 프로젝트 지식베이스와 TODO를 관리합니다. 요구사항, 의사결정, 정책 문서를 업데이트하거나 작업 현황을 파악할 때 사용하세요.

Living Docs

프로젝트의 지식과 실행 계획을 통합 관리하는 문서 시스템입니다.

Instructions

프로젝트 자동 인식

모든 워크플로우 시작 전에 다음 절차로 프로젝트를 확인합니다:

  1. 현재 경로 확인

    pwd
    
  2. 프로젝트명 추출

    경로에 ~/repos/ 포함 시:

    • ~/repos/ 이후 첫 번째 디렉토리명 추출
    • 예: ~/repos/myapp1/src/componentsmyapp1

    프로젝트명 정제 규칙:

    • _slot + 숫자 패턴 제거: project_slot1project
    • 끝의 순수 숫자 제거: myapp1myapp, project2project
    • 나머지는 그대로 유지: project_devopsproject_devops, api_serverapi_server

    경로에 ~/repos/ 없으면:

    • 사용자에게 "어느 프로젝트를 관리할까요?" 질문
    • 직접 프로젝트명 입력 받기
  3. 문서 디렉토리 확인

    • ~/docs/{project}/ 존재 여부 확인
    • 없으면: "{project} 프로젝트 문서 디렉토리를 생성할까요?" 제안
    • 생성 시: mkdir -p ~/docs/{project}/{knowledge,decisions,todos}
  4. 사용자 확인

    • "{project} 프로젝트에서 작업하시는 것 맞나요?"
    • 잘못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수정 가능

문서 위치 및 파일명 규칙

디렉토리 구조:

모든 문서는 ~/docs/{project}/ 아래에 저장됩니다:

  • knowledge/{category}/: 지식 문서 (아키텍처, 보안, 요구사항 등)
  • decisions/: 의사결정 기록
  • todos/: 할 일 목록

파일명 규칙:

  1. Self-descriptive - 경로와 파일명만 봐도 내용 파악 가능해야 함

    • ✅ 좋은 예: knowledge/devops/idc-deployment-commands.md
    • ❌ 나쁜 예: knowledge/IDC-001.md, doc-2024-11-06.md, temp-notes.md
  2. 명명 규칙

    • kebab-case 사용 (소문자 + 하이픈)
    • 2-4 단어 권장
    • 영문 권장 (한글도 가능하지만 링크 호환성 고려)
    • 구체적이고 명확한 이름 사용
  3. 경로 패턴

    • knowledge: 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
      • 예: proj/knowledge/policy/album-cover-upload.md
    • decisions: {project}/decisions/{topic}.md
      • 예: proj/decisions/ansible-diff-display-improvement.md
    • todos: {project}/todos/{topic}.md
      • 예: proj/todos/fix-album-upload-validation.md

워크플로우 1: 지식 문서 업데이트

사용자가 "X 문서 업데이트" 요청 시:

0. 프로젝트 확인 (위 "프로젝트 자동 인식" 절차에 따라 자동 수행)

  1. 문서 확인

    Read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
    
  2. 업데이트 유형 판단 사용자 요청과 변경 내용을 보고 둘 중 하나 선택:

    경로 A: 간단한 수정 (오타, 내용 추가, 포맷 정리 등)

    • "어떤 내용을 업데이트할까요?" 물어보기
    • 내용 수정
    • updated: 필드만 갱신 (오늘 날짜)
    • 히스토리 생략 가능
    • 변경 사항 요약 후 완료

    경로 B: 중요한 변경 (정책 변경, 아키텍처 수정, 설정 값 변경 등)

    • "어떤 내용을 업데이트할까요?"
    • "변경 이유를 알려주세요"
    • "영향받는 부분이나 관련 문서가 있나요?"
    • 필요시 추가 정보 요청
    • updated: 필드 갱신
    • "## 현재 상태" 섹션 업데이트
    • "## 히스토리" 섹션 최상단에 엔트리 추가:
      ### YYYY-MM-DD: [변경 제목]
      **변경 내용:**
      - [구체적 변경사항]
      
      **이유:**
      - [변경 이유]
      
      **영향:**
      - 관련 문서: [[doc-id]]
      - 관련 TODO: [[todo-id]]
      
      ---
      
    • 관련 문서에 역참조 추가 제안
    • 필요시 TODO 생성 제안
  3. 확인

    • 변경 사항을 사용자에게 요약
    • 추가 업데이트 필요 여부 확인
  4. Git 커밋

   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 && git commit -m "docs(knowledge): update {category}/{topic} - {변경 요약}"
    
  5. 자동 건강도 체크 (워크플로우 10)

    • 문서 크기 확인 (300+ 줄 시 분할 제안)
    • 중복 가능성 확인 (태그 80%+ 중복 시 병합 제안)
    • 이슈 발견 시 즉시 알림 및 리팩토링 제안

워크플로우 2: 의사결정 기록

사용자가 "X 결정 기록해줘" 요청 시:

  1. 템플릿 사용 templates/decision.md를 기반으로 새 문서 생성

  2. 사용자와 대화

    • "어떤 결정을 했나요?"
    • "이유는 무엇인가요?"
    • "어떤 대안을 고려했나요?"
    • "어떤 영향이 있나요?"
  3. 문서 생성

    Write ~/docs/{project}/decisions/{slug}.md
    

    Frontmatter:

    • id: dec-{slug}
    • decided: 오늘 날짜
    • impacts: 영향받는 문서 ID 배열 (사용자에게 확인)
  4. 관련 문서 업데이트

    • 영향받는 문서들의 references: 에 이 결정 추가
    • 필요시 TODO 생성 제안
  5. Git 커밋

   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decisions/{slug}.md && git commit -m "docs(decision): add {slug}"
    
  6. 자동 건강도 체크 (워크플로우 10)

    • 유사 결정 문서 중복 확인
    • 이슈 발견 시 알림

워크플로우 3: TODO 생성 및 관리

사용자가 "X 작업 TODO 만들어줘" 요청 시:

  1. 템플릿 사용 templates/todo.md 기반으로 생성

  2. 정보 수집

    • "작업 내용을 설명해주세요"
    • "완료 조건은 무엇인가요?"
    • "관련 문서나 결정이 있나요?"
    • "마감일이 있나요?"
  3. 문서 생성

    Write ~/docs/{project}/todos/{slug}.md
    
  4. 관련 문서 링크 관련 지식/결정 문서에 역참조 추가

  5. Git 커밋

   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todos/{slug}.md && git commit -m "docs(todo): add {slug}"
    
  6. 자동 건강도 체크 (워크플로우 10)

    • 중복 TODO 확인
    • 이슈 발견 시 알림

워크플로우 4: 현황 파악

사용자가 "뭐 해야해?", "TODO 목록", "이번 주 할 일" 요청 시:

  1. TODO 파일 검색

    Glob ~/docs/{project}/todos/*.md
    
  2. 각 파일 분석

    • Read로 frontmatter만 빠르게 확인
    • status: 필드 확인 (pending, in-progress, done)
  3. 필터링 및 정렬

    • status != done인 것만 (완료된 작업 제외)
    • "이번 주" 요청 시: 이번 주 월요일~일요일 범위 deadline만
    • deadline이 가까운 순
    • priority 높은 것 우선
  4. 사용자에게 리포트

    현재 진행 중: 3개
    - [todo-002] IP 업데이트 (마감: 02/15, 우선순위: 높음)
    
    대기 중: 5개
    - [todo-007] 배포 스크립트 작성 (마감: 02/20)
    
    완료: 12개
    

워크플로우 5: 지식 탐색 (Wiki 스타일)

사용자가 "X 관련 정보", "X 문서 찾아줘", "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는?" 요청 시:

0. 구조 파악 (항상 첫 단계)

탐색 전 프로젝트 문서 구조를 파악합니다:

# 전체 구조 시각화
Bash: lsd --tree ~/docs/{project}

# 문서 통계 빠르게 파악
Bash: find ~/docs/{project} -name "*.md" | wc -l

구조 파악 결과:

  • 어떤 카테고리가 있는지 (architecture, security, requirements 등)
  • 문서가 얼마나 있는지
  • 어디를 중점적으로 탐색할지 판단

1. 인덱스 탐색 (빠르고 넓게)

목표: 최소한의 Read로 관련 문서 후보군 파악

# 전략 A: Frontmatter에서 빠르게 스캔
# - 문서 ID, 제목, 태그만 추출하여 인덱스처럼 활용
Grep -A 10 "^---$" ~/docs/{project}/**/*.md | head -50

# 전략 B: 키워드 검색 (본문 포함)
Grep -i "keyword" ~/docs/{project}/**/*.md

# 전략 C: 태그 기반 필터링
Grep "tags:.*security" ~/docs/{project}/**/*.md

# 전략 D: 문서 ID 패턴 검색
Grep "^id: know-arch" ~/docs/{project}/**/*.md

핵심 원칙:

  • Read는 최소화 (비용 절약)
  • rg/Grep으로 먼저 후보 좁히기
  • 필요한 문서만 정확히 Read

2. 검색 전략 선택

인덱스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 선택:

전략 A: 키워드 검색 ("API 설계 관련 문서 찾아줘")

# 1단계: 인덱스 탐색으로 후보 파악
Grep -i "api" ~/docs/{project}/**/*.md | head -20

# 2단계: 필요한 문서만 Read
Read ~/docs/{project}/knowledge/architecture/api-design.md

전략 B: 특정 문서의 연결 탐색 ("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는?")

  • Forward Links: 현재 문서가 참조하는 문서
    • 본문의 [[링크]] 추출
    • Frontmatter의 references:, related: 확인
  • Backlinks: 현재 문서를 참조하는 문서
    # 본문에서 현재 문서를 참조하는 문서 찾기
    Grep "\[\[현재-문서-id\]\]" ~/docs/{project}/**/*.md
    
    # Frontmatter에서 현재 문서를 참조하는 문서 찾기
    Grep "- 현재-문서-id" ~/docs/{project}/**/*.md
    

전략 C: 태그 기반 탐색 ("security 태그 문서 모두 보여줘")

Grep "tags:.*security" ~/docs/{project}/**/*.md

전략 D: 상태 기반 필터링 ("진행 중인 TODO 보여줘")

# 상태별 필터링
Grep "status: in-progress" ~/docs/{project}/todos/*.md

# 우선순위별 필터링
Grep "priority: high" ~/docs/{project}/todos/*.md

3. 상세 분석 (필요한 것만)

인덱스 탐색으로 좁힌 문서들만 Read로 상세 분석

4. 종합 리포트

  • 직접 관련된 문서들
  • Forward Links (문서가 참조하는 문서들)
  • Backlinks (문서를 참조하는 문서들)
  • 관련 TODO
  • 의사결정 히스토리
  • 태그별 분류

워크플로우 6: 새 문서 생성

사용자가 "X 문서 만들어줘" 요청 시:

  1. 문서 유형 확인

    • 지식 문서? → templates/knowledge.md
    • 의사결정? → templates/decision.md
    • TODO? → templates/todo.md
  2. 사용자와 대화

    • 카테고리 확인 (architecture, security 등)
    • 초기 내용 수집
  3. 템플릿 기반 생성 적절한 위치에 파일 생성

  4. Git 커밋

   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{문서경로} && git commit -m "docs({유형}): add {slug}"
    
  5. 자동 건강도 체크 (워크플로우 10)

    • 문서 크기 및 중복 확인
    • 이슈 발견 시 즉시 알림

워크플로우 7: 문서 병합 (중복 방지)

문서 생성 또는 업데이트 후, 유사한 문서가 있는지 확인하여 병합을 제안합니다.

자동 중복 검사 (문서 생성/업데이트 시)

  1. 유사 문서 탐색

    # 1단계: 같은 카테고리 내 문서 목록
    Bash: lsd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
    
    # 2단계: 유사 키워드로 검색
    Grep -i "{핵심키워드}"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*.md
    
    # 3단계: 태그 기반 유사도 확인
    Grep "tags:.*{관련태그}" ~/docs/{project}/**/*.md
    
  2. 유사도 판단

    • 같은 카테고리 + 같은 주제 → 높은 유사도
    • 태그 50% 이상 겹침 → 중간 유사도
    • 본문에 같은 키워드 다수 등장 → 병합 고려
  3. 사용자에게 제안

    유사한 문서를 발견했습니다:
    
    1. know-security-ip-whitelist.md (생성: 2024-01-15)
       - 태그: security, networking, ip
       - 주제: IP 화이트리스트 정책
    
    2. know-security-firewall-rules.md (생성: 2024-03-10)
       - 태그: security, networking, firewall
       - 주제: 방화벽 규칙
    
    이 문서들과 병합하시겠습니까?
    [1] 새 문서로 유지
    [2] 문서 1과 병합
    [3] 문서 2와 병합
    [4] 모두 병합하여 새 문서 생성
    
  4. 병합 실행

    사용자가 병합 선택 시:

    방법 A: 기존 문서에 통합

    • 기존 문서를 Read
    • 새 내용을 적절한 섹션에 추가
    • 히스토리에 병합 기록
    • 새 문서 파일은 생성하지 않음

    방법 B: 새 통합 문서 생성

    • 두 문서의 내용을 합쳐 새 문서 생성
    • 기존 문서들은 아카이브 또는 삭제
    • 모든 참조를 새 문서로 업데이트
    ## 히스토리
    
    ### YYYY-MM-DD: 문서 병합
    **변경 내용:**
    - [[구-문서-id]]의 내용을 통합
    - [구체적으로 어떤 섹션이 추가되었는지]
    
    **이유:**
    - 유사한 주제의 중복 방지
    - 정보 중앙화
    
    ---
    
  5. 참조 업데이트

    • 구 문서를 참조하던 모든 문서 검색
    Grep "\[\[구-문서-id\]\]" ~/docs/{project}/**/*.md
    
    • 각 문서의 참조를 새 문서 ID로 교체
    • Git 커밋에 "refactor: merge documents" 기록

워크플로우 8: Git 관리

모든 문서 변경 사항은 Git으로 추적합니다.

기본 원칙

  • 자동 커밋: 문서 생성/수정/삭제 시 자동으로 커밋
  • 명확한 메시지: 변경 내용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커밋 메시지
  • 원자적 커밋: 하나의 논리적 변경은 하나의 커밋
  • 절대 금지: --no-verify, --force 옵션 사용 금지

커밋 타이밍

즉시 커밋:

  • 새 문서 생성
  • 문서 삭제
  • 중요한 정책/설정 변경
  • 문서 병합

배치 커밋 가능:

  • 단순 오타 수정
  • 포맷 정리
  • 여러 문서의 태그 일괄 수정

커밋 메시지 규칙

# 새 문서 생성
docs(knowledge): add security/ip-policy

# 문서 업데이트
docs(knowledge): update security/ip-policy - change staging IP

# 의사결정 기록
docs(decision): add aws-region selection

# TODO 생성
docs(todo): add ip-update task

# TODO 완료 및 통합
docs(knowledge): merge todo-ip-update into security/ip-policy

# 문서 병합
docs(refactor): merge ip-whitelist into firewall-rules

# 문서 삭제
docs(delete): remove obsolete todo-old-task

워크플로우 통합

각 워크플로우의 마지막 단계에 Git 커밋 추가:

워크플로우 1 (지식 문서 업데이트) 완료 후:
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 && git commit -m "docs(knowledge): update {category}/{topic} - {간단한 설명}"

워크플로우 2 (의사결정 기록) 완료 후:
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decisions/{slug}.md && git commit -m "docs(decision): add {slug}"

워크플로우 3 (TODO 생성) 완료 후:
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todos/{slug}.md && git commit -m "docs(todo): add {slug}"

워크플로우 7 (문서 병합) 완료 후:
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add . && git commit -m "docs(refactor): merge {old-doc} into {new-doc}"

Git 저장소 초기화

프로젝트 문서 디렉토리 생성 시 자동으로 Git 초기화:

# 디렉토리 생성
mkdir -p ~/docs/{project}/{knowledge,decisions,todos}

# Git 초기화 (저장소가 없는 경우)
cd ~/docs/{project}
if [ ! -d .git ]; then
  git init
  echo "# {project} Documentation" > README.md
  git add README.md
  git commit -m "docs: initialize documentation repository"
fi

변경 이력 조회

사용자가 "X 문서 변경 이력", "누가 언제 수정했어?" 요청 시:

# 특정 문서의 변경 이력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log --oneline -- knowledge/security/ip-policy.md

# 상세 변경 내역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log -p -- knowledge/security/ip-policy.md

# 최근 변경 사항
Bash: cd ~/docs/{project} && git log --since="1 week ago" --oneline

워크플로우 9: TODO 상태 관리 및 완료 처리

A. 상태 변경

사용자가 "X 작업 시작", "X 작업 진행 중", "X 작업 완료" 요청 시:

  1. TODO 파일 확인

    Read ~/docs/{project}/todos/{slug}.md
    
  2. 상태 업데이트

    • pending → in-progress: status: in-progress 설정
    • in-progress → done: status: done + completed: YYYY-MM-DD 설정
    • 필요 시 역방향도 가능 (in-progress → pending)
  3. 히스토리 추가

    ### YYYY-MM-DD: 상태 변경 (pending → in-progress)
    **내용:**
    - 작업 시작
    - [진행 상황이나 메모]
    
    ---
    

B. 완료 후 처리

TODO가 status: done이 되면 사용자에게 선택지 제안:

옵션 1: Knowledge로 통합 (권장)

TODO의 내용이 지식으로 남을 가치가 있는 경우, 다음 5단계를 따릅니다:

Step 1: Category 결정

TODO의 내용을 분석하여 적절한 category 선택:

TODO 내용 Category 파일 위치 예시
아키텍처 패턴, 설계 결정 architecture knowledge/architecture/api-design.md
보안 정책, 주의사항 security knowledge/security/auth-policy.md
운영 절차, 배포 방법 operations knowledge/operations/deployment.md
성능 최적화, 튜닝 performance knowledge/performance/caching.md
기술 스택, 라이브러리 선택 tech-stack knowledge/tech-stack/frontend.md
팀 프로세스, 개발 규칙 process knowledge/process/code-review.md
특정 도메인 지식 domain knowledge/domain/payment-flow.md
문제 해결, 트러블슈팅 troubleshooting knowledge/troubleshooting/db-connection.md

Step 2: 관련 문서 찾기

선택한 category에서 관련 문서 검색:

# 방법 1: 키워드 검색 (빠름)
Grep "키워드" --type=md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 -i

# 방법 2: 파일명 패턴 검색
Glob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*{keyword}*.md

# 방법 3: 태그 검색 (가장 정확)
Grep "tags:.*키워드"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 -i

검색 우선순위:

  1. 태그가 80%+ 일치하는 문서 → 병합 강력 권장
  2. 제목/slug에 키워드 포함 → 통합 후보
  3. 검색 결과 없음 → 새 문서 생성

Step 3: 통합 가치 판단

다음 체크리스트로 통합 여부 결정:

  • 이 지식이 미래의 작업/결정에 참고될 가능성이 있는가?
  • 다른 팀원도 알아야 할 내용인가?
  • 비슷한 상황에서 다시 찾아볼 내용인가?

모두 No → 옵션 2 (파일 삭제)로 전환 하나라도 Yes → Step 4로 진행

Step 4A: 기존 문서에 통합 (관련 문서 발견 시)

  1. 통합 위치 결정:

    • 새로운 섹션 추가: TODO의 내용이 독립적인 주제인 경우
    • 기존 섹션 확장: 이미 다루고 있는 주제와 관련된 경우
    • 예시/사례 추가: 구체적인 구현 사례인 경우
  2. 내용 추출 및 정리:

    • TODO의 "## 설명", "## 작업 내용" 섹션에서 핵심 내용 추출
    • 일시적인 정보(날짜, 담당자 등) 제거
    •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재작성
  3. 문서 업데이트:

    # [기존 문서 제목]
    
    [기존 내용...]
    
    ## [새로운 섹션 또는 기존 섹션 확장]
    
    [TODO에서 추출한 지식]
    
    ### 관련 사례
    
    **[[todo-xxx]] 작업 완료 (YYYY-MM-DD)**:
    - [작업에서 배운 점]
    - [구체적인 구현 방법]
    - [주의사항]
    
  4. Frontmatter 갱신:

    updated: YYYY-MM-DD
    references:
      - "[[todo-xxx]]"  # 추가
    
  5. 히스토리 추가:

    ## 히스토리
    
    ### YYYY-MM-DD: [[todo-xxx]] 작업 완료 반영
    
    **변경 내용:**
    - [TODO에서 수행한 작업 내용]
    
    **추가된 지식:**
    - [새로 추가된 섹션/내용 요약]
    
    **관련 작업:**
    - 완료된 TODO: [[todo-xxx]]
    
    ---
    

Step 4B: 새 문서 생성 (관련 문서 없음 시)

  1. 파일명 규칙:

   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
    
    • {topic}: 2-4 단어, kebab-case
    • 예: api-versioning-strategy.md, redis-session-store.md
  2. Frontmatter 작성:

    ---
    id: know-{category}-{topic}
    created: YYYY-MM-DD
    updated: YYYY-MM-DD
    tags:
      - {category}
      - [관련 키워드 1]
      - [관련 키워드 2]
    references:
      - "[[todo-xxx]]"
    ---
    
  3. 초기 구조:

    # {주제명}
    
    ## 개요
    
    [이 지식이 필요한 이유, 배경 설명]
    
    ## 내용
    
    [TODO에서 추출한 핵심 지식]
    
    ### [하위 섹션 1]
    
    [상세 내용]
    
    ### [하위 섹션 2]
    
    [상세 내용]
    
    ## 예시
    
    [구체적인 코드나 구현 사례]
    
    ## 주의사항
    
    [알아야 할 함정, 제약사항]
    
    ## 관련 문서
    
    - [[dec-xxx]]: [관련 의사결정]
    - [[know-xxx]]: [관련 지식]
    
    ## 히스토리
    
    ### YYYY-MM-DD: [[todo-xxx]] 작업 완료 후 문서화
    
    **내용:**
    - [초기 작성 이유]
    
    ---
    

Step 5: TODO 파일 삭제

rm ~/docs/{project}/todos/{slug}.md

완료 메시지:

✅ TODO [[todo-xxx]] 완료 처리
📋 Knowledge 통합: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
   - [통합된 섹션명]
   - [추가된 내용 요약]

옵션 2: 파일 삭제

  • 단순 작업으로 별도 기록이 필요 없는 경우
  • TODO 파일을 바로 삭제
rm ~/docs/{project}/todos/{slug}.md
  1. 사용자 확인 "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. 이 TODO를:"
    • [1] Knowledge 문서에 통합 후 삭제 (권장)
    • [2] 파일만 삭제

워크플로우 10: 문서 건강도 자동 체크

문서 생성/수정 완료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건강도 체크입니다.

실행 시점:

  • 워크플로우 1, 2, 3, 6 완료 후 자동 실행
  • 사용자가 "찾기 힘들어", "중복", "문서 정리" 언급 시

상세 로직: resources/health-check.md 참조

간단 체크 (자동)

문서 생성/수정 후 즉시 체크:

  1. 현재 문서 크기 확인

    wc -l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{topic}.md
    
    • 300+ 줄 → 즉시 분할 제안
    • 200-299 줄 → 경고 표시
  2. 중복 가능성 확인

    # 같은 카테고리에서 유사 태그 검색
    Grep "tags:.*{주요태그}" ~/docs/{project}/knowledge/{category}/*.md
    
    • 태그 80%+ 중복 → 병합 제안
  3. 이슈 발견 시 즉시 알림

    ⚠️ 문서 정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:
    
    🔴 즉시 조치:
    - knowledge/api.md (523줄) → 분할 권장
      제안: api/rest.md + api/graphql.md + api/auth.md
    
    🔶 검토 필요:
    - security-ip-policy.md ↔ networking-firewall.md
      중복: 85% (태그: security, networking, firewall)
      → 병합 제안: security/network-policies.md
    
    정리하시겠습니까?
    [1] 즉시 리팩토링 (권장)
    [2] 나중에
    [3] 무시
    

전체 건강도 리포트 (요청 시)

사용자가 "문서 정리", "docs health" 언급 시:

  1. 전체 문서 분석

    • 파일 크기
    • 중복 검사
    • 참조 건강도 (끊어진 링크, 고아 문서)
    • 카테고리 분석
  2. 리포트 생성 (resources/health-check.md 형식)

    • Critical 이슈
    • Warnings
    • Recommendations
  3. 리팩토링 실행 (사용자 승인 시)

    • 문서 분할
    • 중복 병합
    • 크로스 레퍼런스 추가
    • 카테고리 재구성

중요 원칙

  1. 사용자 중심: 항상 사용자에게 확인하고 대화하며 진행
  2. 명확한 커뮤니케이션: 변경 전 요약, 변경 후 확인
  3. 일관성: 모든 문서는 템플릿 구조 유지
  4. 추적 가능성: 히스토리와 참조를 통한 변경 추적
  5. 단순함: 복잡한 스크립트 대신 Claude의 판단 활용
  6. 자동 건강도 관리: 문서 작성 중 자동으로 정리 필요성 판단

Examples

Example 1: 지식 문서 업데이트

User: "myproject IP 정책 업데이트해줘"
Assistant:
1. Read ~/docs/myproject/knowledge/security/ip-policy.md
2. "어떤 내용을 업데이트할까요?"
User: "Staging IP를 198.51.100.3으로 변경했어"
Assistant:
3. "변경 이유를 알려주세요"
User: "CDN 통합 때문이야"
Assistant:
4. Edit frontmatter (updated: 오늘)
5. Edit 현재 상태 섹션
6. Edit 히스토리 추가
7. "IP 정책 문서를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했습니다:
   - Staging IP: 198.51.100.3
   - 이유: CDN 통합
   추가로 업데이트할 내용이 있나요?"

Example 2: TODO 관리

User: "이번 주 할 일 보여줘"
Assistant:
1. Glob ~/docs/*/todos/*.md
2. Read 각 파일 frontmatter
3. 분석 및 정렬
4. "이번 주 할 일입니다:

   긴급 (마감 임박):
   - [myproject] IP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 (02/15)

   진행 중:
   - [project-a] API 문서화 (02/18)

   대기:
   - [myproject] SSL 인증서 갱신 (02/20)

   어떤 작업부터 시작할까요?"

Example 3: 의사결정 기록

User: "AWS 서울 리전 선택 결정 기록해줘"
Assistant:
1. "좋습니다. 몇 가지 확인하겠습니다:"
2. "왜 서울 리전을 선택했나요?"
User: "레이턴시 최소화"
Assistant:
3. "어떤 대안을 고려했나요?"
User: "도쿄, 싱가포르"
Assistant:
4. "이 결정이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나요?"
User: "IP 설정, 배포 스크립트"
Assistant:
5. Write ~/docs/myproject/decisions/aws-region.md
6. "의사결정 문서를 생성했습니다.
   영향받는 문서:
   - IP 관리 정책
   - 배포 아키텍처

   IP 설정 변경 작업을 TODO로 만들까요?"

Technical Details

상세한 템플릿 구조와 frontmatter 형식은 REFERENCE.md를 참조하세요.